Invest_Mind: 투자의 첫걸음

경제적 자유를 위한 투자의 첫걸음

S&P500 5

집은 Asset(자산)인가? Liability(채무, 빚)인가?

자산과 채무의 의미는 많은 분들이 알고 있지만 정확하게 어떤것이 자산이고 채무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러면 지금 내가 살며 15-30년간 은행에 이자를 갚아 가고 있는 집은 자산인지 빚인지 알고 계신가요?먼저 자산과 빚의 두가지의 사전적 의미를 짚어 보겠습니다. 자산(Asset)은?자산은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재화를 의미합니다. 즉 돈으로 환산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말합니다.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1. 유동자산: 1년 이내에 현금화될 수 있는 자산으로, 현금, 단기투자자산, 매출채권 등이 포함됩니다.2. 비유동자산: 1년 이내에 현금화되지 않은 자산 부동산, 장기투자증권, 유형자산(토지, 건물, 임대 주택 등 ), 무형자산(특허권, 상품권 등)채무,빚(Liability)는? 채무란 ..

은퇴 준비하기 2025.01.18

젊을때 딱 10년만 투자했다면..

우리가 20대로 다시 돌아간다면 무엇을 하시겠습니까? 당연 경제적인 성공을 위한 실천을 하실꺼라 생각 됩니다. 위의 질문에 가장 많은 답 1 순위를 뽑는다면 투자일 것입니다. 그 중에서 은퇴자금을 만드는 가장 큰 부분인 401K와 IRA를 Max로 하겠다는 의견이 가장 많은 답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40-50 대가 되어서야 겨우 은퇴준비를 시작한다는 것입니다. 젊었을 때 열심히 일은 하지만 사회 생활도 해야하고 연예와 결혼, 자식도 키워야 하기에 은퇴준비를 생각하지도 못하다가 나이가 들어 아프고 일하기가 힘들어지면 느지막하게 준비를 하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투자에 대해서 일찍 부모님 또는 책이나 지인을 통해서 금융 교육을 제대로 받아 20대 때부터 투자를 했다면 지금 나에게 어떤 변화가 생겼을..

워시세일이란?

워시세일(Wash Sale)이란? 손해 보고 있는 주식을 손절하면 연말정산때 세금 혜택을 받게 되는데 30일 전후에 동일한 (혹은 유사한) 주식을 매입하는 행위로 IRS에서 손절부분에 대한 세금혜택을 받지 못하게 워시세일 이라는 룰을 적용, 익절하는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으며 손절할 경우에만 30일 룰이 적용되요 Q. 워시세일은 불법인가? 불법은 아니고 다만 해당 연도에 세금 혜택을 받을수 없어요 Q. 같은 주식만 매입하지 않으면 되는 것인가? 유사한 ETF나 ETN같은 종합상품에는 워시세일 룰이 적용되요 예를 들어서 - Microsoft 주식을 손절했다가 30일째 똑같은 MSFT를 다시 매입하는 것은 워시세일에 해당돼요- NVIDIA를 팔고 같은 카테고리인 AMD 매입은 워시세일이 아니에요 - SPY ..

고배당 커버드콜 ETF을 이용한 은퇴자 포트폴리오

은퇴를 앞두거나 은퇴를 했는데 자산관리를 하지 못한다면 앞으로 남은 은퇴 생활에 큰 차질이 생길 수 있을 것입니다.그래서 은퇴 후 남은 금융 자산으로 마르지 않는 샘을 만들어 계속적인 현금 흐름과 자산을 동시에 불려가는 전략이 가능한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보아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몇달을 고민하던 끝에 최근에 출시된 QQQI(NEOS Nasdaq 100 High Income ETF/ 나스닥 고배당 커버드콜 ETF)을 통하여 어느 정도의 고민의 실마리가 풀려서 소개해 보려 합니다. 기본적으로 4가지의 ETF 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였고 현금흐름, 자산 성장, 안전이라는 3가지 키워드를 가지고 포트폴리오를 구성을 해보았습니다. 1. 포트폴리오 구성포트폴리오의 자산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현금흐..

은퇴 준비하기 2024.12.08

주가는 언제 회복 되나?

주식 투자를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은 내가 투자하면 반드시 주가가 올라갈 것이라는 믿음이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시장은 늘 악재와 사건들이 생겨나 하락과 상승을 반복하게 하는 곳입니다. 그래서 주식투자를 하며 주가의 하락에 대해서 너무 민감하게 반응 해서는 안됩니다. 또한 이러한 변동성이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하락장이 없다면 싼가격에 주식을 매수 할수가 없고 상승장이 돌아 왔을때 싸게 매입한 주식을 통하여 좋은 수익률을 얻을 수도 없기 때문에 이러한 변동성이 큰 시장에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느긋하게 투자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지난 10년간 미국 시장의 조정장과 하락장을 보면 지금 격고 있는 하락장에 어떻게 대처 해야 하는지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 표는 10년간 S&P500의 하락률과 하락을..